반응형
컴퓨터활용능력 문제 2-1부분은 다양한 함수를 활용하여 계산작업을 수행하는 부분으로, 이 중 데이터베이스 함수를 정리하겠습니다.
데이터베이스 함수 사용법
데이터베이스 함수는 함수 앞에 D가 붙어있는 함수로, (DB 범위, 계산 필드, 조건)의 형태를 주로 갖습니다.
- 함수 마법사 - '데이터베이스 함수' 클릭
- DB 범위 인수의 경우 필드명을 포함해 영역을 지정한다.
- Field 인수를 지정할 때에는 마찬가지로 필드명을 클릭하거나, 왼쪽 열부터 1, 2, 3, 4, 5 등의 숫자로 표기 가능하다.
- 조건의 경우 주로 '필드명 - 값'의 쌍으로 구성된다.
데이터베이스의 조건식을 작성할 때, 행(가로) 방향은 AND 조건을 의미하고, 열(세로) 방향은 OR 조건을 의미한다. 아래와 같이 작성된 조건은 OR(AND(성별 = "남", 영어 >= 90), AND(성별="여", 수학>=90))을 의미한다.
(성별이 '남'이고 영어 성적이 90이상)이거나 (성별이 '여'이고 수학 성적이 90이상)
데이터베이스 함수 정리
함수 | 설명 |
DCOUNTA | 해당 필드 내 비어있지 않은 값들의 개수를 구한다 |
DCOUNT | 해당 필드 내 숫자를 포함한 셀의 개수를 구한다 |
반응형
'IT > 컴퓨터활용능력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컴활 1급 실기] 스프레드시트 수식 함수 및 꿀팁 정리 (0) | 2021.08.09 |
---|---|
[컴활 1급 실기] 스프레드시트 문제 2-1 유형 정리(계산작업 - 수학 관련 함수) (0) | 2021.08.09 |
[컴활 1급 실기] 스프레드시트 문제 유형 정리(외부 데이터 가져오기) (0) | 2021.08.09 |
[컴활 1급 실기] 스프레드시트 문제 1-3 유형 정리(기본작업 - 인쇄 영역, 페이지 레이아웃) (0) | 2021.08.09 |
[컴활 1급 실기] 스프레드시트 문제 1-3 유형 정리(기본작업 - 시트 보호, 통합문서 보기) (0) | 2021.08.09 |
댓글